질의◦ 회사는 첨단신기술제품을 생산 및 판매하고 있으며, 당기부터 제품생산을 실시하여 당기 중 제품의 생산수율은 당사가 목표로 하는 수율보다 현저하게 낮은 경우, 1. 고정제조간접비를 정상조업도(당기의 실적수율이 아닌 목표수율을 적용할 경우 생산 가능한 수량으로 산출)를 기준으로 배부한 경우 정상조업도로 배부한 후 재고자산의 취득원가로 배부되지 아니한 고정제조간접비의 적절한 계정과목은? 2. 생산 초기단계의 낮은 수율로 인해 재료비 및 노무비 등의 상대적 투입량이 많아, 제품의 제조원가가 NRV 보다 높은 경우, 제조원가와 NRV의 차이인 재고자산평가손실의 적절한 계정과목은? 회신1. “조업도 손실” 등의 계정과목으로 발생한 기간의 영업외비용에 반영하여야 함. 2. 비효율적인 제조활동으로 인해 제조비용이 상승한 부분은 “조업도 손실” 등의 계정과목으로 발생한 기간의 영업외비용으로 인식하며, 정상적인 제조원가가 NRV 보다 높아 발생한 차이분은 재고자산평가손실로 하여 매출원가로 인식하는 것이 타당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