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의생산직 인원이 유급휴가를 사용함에 따라 해당 기간에 제품 생산이 중단됨. 해당 기간에 발생한 급여의 회계처리는?회신□ 해당 급여가 직접노무원가에 해당한다면 재고자산 취득원가에 포함되므로 당기 또는 차기 매출원가를 구성하고, o 해당 급여를 노무원가 중 비정상적으로 낭비된 부분으로 보더라도 매출원가에 해당함(제1002호 문단 10, 12, 16, 38) o 직접노무원가인지 여부 판단 시 질의회신 [2020-I-KQA005] ‘생산중단에 따른 고정제조간접비 등의 영업손익 분류’ 회신을 참조할 수 있음 - 이에 따르면 공장 운영이 중단된 기간 중 고정적으로 발생하는 인건비*는 해당 연도 근무용역에 대한 대가로 직접노무원가에 해당 * 공장 운영이 중단된 기간에 고용관계를 유지하기 위해 지급관련회계기준K-IFRS 제1002호 ‘재고자산’10 재고자산의 취득원가는 매입원가, 전환원가 및 재고자산을 현재의 장소에 현재의 상태로 이르게 하는 데 발생한 기타 원가 모두를 포함한다. 12 재고자산의 전환원가는 직접노무원가 등 생산량과 직접 관련된 원가를 포함한다. 또한 원재료를 완제품으로 전환하는 데 드는 고정 및 변동 제조간접원가의 체계적인 배부액도 포함한다. 고정제조간접원가란 생산과정에서 사용되는 공장 건물, 기계장치, 사용권자산의 감가상각비 및 수선유지비와 공장 관리비처럼 생산량과는 상관없이 비교적 일정한 수준을 유지하는 간접 제조원가를 말한다. 변동제조간접원가는 간접재료원가나 간접노무원가처럼 생산량에 따라 직접적으로 또는 거의 직접적으로 변동되는 간접 제조원가를 말한다.16 재고자산의 취득원가에 포함할 수 없으며 발생기간의 비용으로 인식하여야 하는 원가의 예는 다음과 같다. ⑴ 재료원가, 노무원가 및 기타 제조원가 중 비정상적으로 낭비된 부분 ⑵ 후속 생산단계에 투입하기 전에 보관이 필요한 경우 이외의 보관원가 ⑶ 재고자산을 현재의 장소에 현재의 상태로 이르게 하는데 기여하지 않은 관리간접원가 ⑷ 판매원가38 당기에 비용으로 인식하는 재고자산 금액은 일반적으로 매출원가로 불리우며, 판매된 재고자산의 원가와 배분되지 않은 제조간접원가 및 제조원가 중 비정상적인 부분의 금액으로 구성된다. 또한 기업의 특수한 상황에 따라 물류원가와 같은 다른 금액들도 포함될 수 있다.